1. 통상임금 개정, 무엇이 달라졌나?



2024년 12월 19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 통상임금 개념을 다시 정의했습니다. 기존에는 '고정성'이 통상임금의 필수 요건이었지만, 이번 판결로 인해 고정성이 제외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정기상여금 등 재직 조건이 붙은 임금도 통상임금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는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향후 임금 협상 및 근로계약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입니다.
2. 통상임금 개념 변화: 2013년 vs 2024년 비교
기준 | 2013년 판결 | 2024년 판결 |
개념적 징표 | 소정근로 대가성,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 | 소정근로 대가성,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 제외) |
고정성 요건 | 특정 시점 재직 조건이 있는 경우 통상임금 아님 | 특정 시점 재직 조건이 있어도 통상임금 가능 |
정기상여금 | 일부 조건이 붙으면 통상임금에서 제외 가능 | 정기적·일률적 지급이라면 통상임금 인정 |
성과급 및 각종 수당 | 지급 조건이 변동될 경우 통상임금에서 제외 | 지급 조건과 무관하게 통상임금 포함 가능 |
3. 직장인에게 미치는 영향



(1) 임금 상승 가능성
이제까지는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었던 정기상여금, 명절 상여금, 휴가비 등이 통상임금에 포함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연장근로수당, 휴일수당, 퇴직금 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실질적인 임금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소송 및 노사 협의 과정에서도 중요한 쟁점이 될 것입니다.
(2) 기업의 임금 체계 변화
기업 입장에서는 통상임금 산정 방식이 바뀌면서 추가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반영하여 임금 체계 개편, 성과급 제도 조정 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서도 이 영향을 고려한 새로운 임금 정책을 도입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3) 법적 대응 및 노사 관계 변화
통상임금 개정으로 인해 노사 간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일부 기업은 새로운 통상임금 기준을 적용하기 전에 기존 계약을 재조정하려 할 것이며, 이에 대한 근로자와 노조의 반응도 다양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개정은 단순한 임금 상승 문제가 아니라 근로기준법 및 노동법 개정에 따른 노사 관계 전반의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4.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는 수당 및 사례



통상임금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임금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기상여금
기본급과 별도로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은 이제 통상임금에 포함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특히 분기별, 반기별, 연 단위 지급 상여금도 통상임금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근속수당
근무 연한에 따라 일정 금액이 추가 지급되는 근속수당도 통상임금의 범위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직무수당 및 직책수당
특정 직무 수행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는 직무수당이나 팀장, 부서장 등 특정 직책을 수행하는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직책수당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4) 위험수당 및 교대근무수당
특수한 근무 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위험수당과 야간·교대근무 수당도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큽니다.
(5) 가족수당
부양가족이 있는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가족수당 중에서도 모든 근로자에게 기본적으로 지급되는 부분은 통상임금으로 포함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상 질문 & 답변 (FAQ)
Q1.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나요?
A. 네.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은 이제 '고정성' 요건을 따지지 않기 때문에 통상임금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Q2. 재직 중인 근로자에게만 지급되는 임금도 통상임금인가요?
A. 기존에는 재직 조건이 있는 임금은 통상임금에서 제외되었지만, 이번 개정으로 인해 포함될 가능성이 큽니다.
Q3. 가족수당도 통상임금인가요?
A. 부양가족 수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가족수당은 통상임금이 아닙니다. 그러나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한 금액이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Q4. 명절 상여금과 휴가비도 통상임금에 포함되나요?
A.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명절 상여금이나 휴가비는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Q5. 이번 개정으로 인해 기업이 임금 체계를 변경할 가능성이 있나요?
A. 네, 많은 기업들이 임금 체계를 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추가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본급과 상여금 구조를 재편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입니다.
결론 및 향후 전망
이번 통상임금 개정은 근로자와 기업 모두에게 중요한 변화를 가져옵니다. 근로자는 추가적인 임금 상승 가능성이 있지만, 기업은 추가 비용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노사 간 협의와 정부의 추가 지침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가 중요한 이슈가 될 것입니다. 기업들은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근로자들은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 노사가 원만한 합의를 이루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